2017년 ALC주택시공 2017년 제주도애월읍곽지해변부근 효리네민박근처 대규모 전원주택 총9채 ALC골조공사 [4-2]편 : 설계도면 건물배치도 층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4-1편에 이은 4-2편 제주도 애월읍 ALC 주택 9채 동시 ALC 골조 공사 시공기 입니다. 좋은 날씨 덕분에 한라산 정상이 보입니다. 해발 1950M 의 높이입니다. 하늘과 ALC와 땅 그리고 사람.. ALC가 친환경 자재라.. 한데 어울려지는군요.. 사진의 왼쪽 빨강티 입으신분께서 건축사 사장님이십니다. 인상이 좋으시고 항상 웃는분이십니다. 여럿 목수님들께서 존경하시는분이신데요.. 제주도에서 주택전문으로해오신분으로 제자분들 또한 많다고 하시네요. 저희 홍광ALC시공팀 시공인분들게도 먹고, 자고 싸고 일하는 것에 있어서 편하게 배려를 잘 해주셨습니다. 또한 인정이 많으시고 항상 배푸시는 분으로서 제주도와 이 지역에 마을분들, 노인분들께 인정받으신 분입니다. 공사중인 9채중 가운데 "제7동" 주택 슬라브위에서 찍은 동영상입니다. 고야지붕이 진행되는 2채 ALC주택과 철근 콘크리트조들어가기전 덴조 목작업이 진행된 ALC 주택등.. ALC 시공 현장 동영상입니다. ALC 주택 설계 도면 - "건물 배치도"를 보시면 9채의 위치를 한눈에 아실 수 있습니다. 층별 면적표입니다. 바닥면적이 제1동 부터~9동까지 91.68이고 건축면적은 94.98, 9동만 각 87.22 입니다. 새소리와 저의 아시바를 밟는 소리 ALC 블럭을 절단하는 절단기 소리외에는 마치 아무것도 없는듯한 고요함과 한적함이 좋습니다. 제주귤 "천혜향" 입니다. 오렌지와 귤 교잡한 품종입니다. 공사 집 터 옆 귤밭에서 가져온것입니다. 아직은 덜익어 퍼렇고 둥근것이 참 귀엽습니다. 소셜커머스 위메..땡땡에서 청귤로 판매되어 제주도자치경찰단이 규제 - 유통적발하는 사례도 있네요. 이것은 귤까기 공략집입니다. "겨울엔 이불 속에서 귤을 까먹자" 라는 제목으로 동물 모양 내어 귤까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락방 고야쌓기 작업이 한창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ALC 블럭 벽체 조적도 그러하지만 이 고야지붕 또한 정밀히 쌓습니다. ALC 주택 설계 도면 다락층 평면도입니다. 옥상은 액체방수1종 / 구배몰탈 / 에폭시 마감 으로 공사하시네요. 복합방수이죠? alc 블럭 집짓기 제주도 주택이라면 이정도는 해줘야지요. ![]() 제주도는 매우 습해서 각 가구당 가습기가 한대씩 있을 정도라 합니다. 또한 땅흙이 귀하네요 본 ALC 주택 또한 통기초 위에 ALC 발수 블 럭을 5단으로 쌓아 기초위에 기초를 더했는데요.. 흙이 귀해서 그러한 방법을 택하기도 한것입니다. (암갈색토가 아닌 화산재로 된 검은흙-흑색토는 많죠) 물론 습기를 거의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매우 좋긴했습니다. 제주도 집짓기 하실때는 설계 단계 부터.. 육지에서 시공하는 방법과 다르게 대응하실 필요 있습니다. 다습한 날씨 바람의 세기가 강합니다. 바람의 방향과 우기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주택 배치와 배수 설계를 잘해야겠습니다. ALC 주택 설계 도면 중- 대지 종단면도 입니다. 1동부터~ 4동까지의 종단면도 입니다. 외벽 단열을 드라이비트로하네요. 화재에 취약한 단열재이나 (불쏘시개) 불연 내화재인 ALC 블럭 골조벽체 위에 (도면에는 없지만 메쉬공정 후) 외단열 시공이라.. 다행입니다. 제주천혜향도않이커져가네요 가을이다가오는가봅니다. 왼쪽 위 보이는 바다가 곽지해변 해수욕장입니다. 이효리님께서 다이빙 연습하던 해수욕장이지요. 망원경으로 보면 보일지도.. ![]() 용마루 목상 루바를 고야 중심통과 직선으로 비워둡니다. (용마루 보 걸칠 예정) 이후 반축공사가 끝나면 지붕은단열재 넣고 아스팔트 슁글 마감을 하게 됩니다. ALC 주택 설계도면 - 제5동 ~ 8동까지의 다락층 평면도입니다. 사각 아스팔트 슁글 들어갑니다. 종단면도 입니다. 다락방 구조를 아실 수 있습니다. 버림콘크리트작업 - 철근콘크리트 지붕스라브 타설을 위해 작업해 놓았습니다. 천장 부분 목상작업하여 위로 합판 깔고 철근넣어서 공구리 - 버림콘크리트 슬라브로..하여 전체 벽체도 잡아주어 강도가 좋아집니다.
마무리 저녁식사로.. 한치 주물럭먹고난 한라산 볶음밥으로 마무리합니다. |
